본문 바로가기
성경 이해 및 해석(Understanding the Bible)

민수기 34장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경계

by dj멀 2025. 6. 6.
반응형

"민수기 34장의 이스라엘의 경계"

 

민수기 34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 차지하게 될 영토의 동서남북 경계를 구체적으로 명시합니다. 이 경계는 하나님께서 직접 정해주신 것으로, 각 지파가 분배 받을 땅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.

 

1. 남쪽 경계

- 시작점: 사해(염해) 동쪽 끝

- 경로:

아그랍빔 언덕 남쪽을 지나 신 광야를 통과 가데스바네아 남쪽을 지나 하살아달을 지나 아스몬에 이르고, 아스몬에서 애굽 시내(와디 엘-아리쉬)로 돌아 지중해(대해)에 이릅니다.

 

 

2. 서쪽 경계

- 경계선: 지중해(대해) 해안 전체가 서쪽 경계입니다.

 

 

3. 북쪽 경계

- 시작점: 지중해에서 시작

- 경로:

호르 산을 지나 하맛 어귀에 이르고 스닷, 시브론, 하살에난에 이릅니다.

- 설명: 이 경계는 레바논 산맥과 시리아 지역 일부까지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, 실제로는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만 잠시 실현되었습니다.

 

 

4. 동쪽 경계

- 시작점: 하살에난에서 시작

- 경로:

스밤을 지나 리블라로 내려가 아인 동쪽을 지나 긴네렛 동쪽 해변(갈릴리 호수) 요단강을 따라 남하 사해(염해)에서 끝납니다.

 

 

♣ 경계의 의미와 실제 적용

이 경계는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땅보다 좁지만, 이스라엘이 실제로 점령한 땅 중 가장 넓은 범위에 해당합니다.

 

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주신 땅은 그들의 불순종 때문에 온전히 차지하지 못했으나,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이르러서야 약속에 가까운 영토를 확보했습니다.

 

경계 설정은 이 땅의 진정한 주인이 하나님이심을 상기시키며,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순종할 때만이 온전한 축복을 누릴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.

 

 

요약

민수기 34장은

- 남쪽: 사해 동쪽 끝~신 광야~가데스바네아~애굽 시내~지중해

- 서쪽: 지중해 해안

- 북쪽: 지중해~호르 산~하맛 어귀~하살에난

- 동쪽: 하살에난~스밤~리블라~긴네렛 동쪽~요단강~사해

이렇게 이스라엘의 사방 경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.

이 경계는 하나님이 주신 약속의 땅의 범위이자, 이스라엘이 순종 할 때 누릴 수 있는 축복의 땅임을 상징합니다.

반응형